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공유경제에 대한 대화의 장인 ‘CC 글로벌 서밋 2015 ‘이 대한민국에서 열립니다.
CC 글로벌 서밋은 2년마다 열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글로벌 컨퍼런스로 전세계 80여개 나라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저작권과 오픈소스, 공유경제에 대해서 이야기 합니다.
전혀다른 지점에 있는듯한 저작권과 공유경제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앞으로의 공유경제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생각해 보는 좋은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CC 글로벌 서밋 2015’이 10월15일부터 17일까지 3일 동안 국립중앙박물관, 아트센터 나비, 컨텐츠코리아랩 등에서 진행됩니다.
참여연사
요하이 벤클러: ‘네트워크의 부’, ‘펭귄과 리바이던’의 저자 이며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
라일라 트레티코프: 위키미디어 사무총장을
라이언 머클리: CC CEO
율리아 레다: 유럽 청년해적당 대표, 저작권법 개혁에 앞장서는 독일 정치인이자 활동가
전길남: 카이스트 명예교수
노소영: 국내 첫 디지털 아트 전문기관 ‘아트센터 나비’의 관장
-> 기사 자세히 보기 저작권·오픈소스·공유경제가 궁금하신가요?
광주남구자원봉사센터(이사장 김경호)가 22일 도시화와 핵가족화로 인한 소외된 이웃 간의 공동체의식을 형성하고자 ‘푸른길 공유를 만나다’행사를 가졌다. 기사 링크 : http://honam.co.kr/read.php3?aid=1477234800506028019 출처 : 무등일보 임정옥기자 2016. 10. 24.
"성남시는 주택단지 8개소에 재활용 분류 배출 수거함을 설치한 결과 쓰레기 무단투기가 대폭 감소했다. 의왕시는 아파트 주민 대상으로 에너지 절약과 환경 교육 진행하고 10분 간 소등행사를 실시해 주민 80%가 참여하는 성과를 거뒀다." 기사링크 :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1073902&thread=09r02 출처 : 아시아뉴스통신 강경숙기자 기사입력…
이미 세상은, 세계는 ‘공유경제’로 재편됐다. 아니 처음부터 공유경제 세상이다. 늘 강조한 바와 같이 공유경제는 갑자기 나타난 ‘발명’이 아니라 이미 우리 생활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우리 생활화돼 있는 공유의 ‘발견’일 뿐이다. 기사 링크 :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98372 출처 : 이근춘의 착한 공유경제 expert@econovill.com …
자동차시장의 패러다임이 ‘소유’에서 ‘공유’로 급변하고 있다. 컨설팅 업체 앨릭스파트너스는 2014년 490만명 수준인 카셰어링 이용자가 2020년 2600만명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으로 4년 뒤에는 북한 인구(약 2500만명)보다 많은 사람이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기사 링크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91985661 출처 : 한국경제 …
현대자동차가 수소전기차를 활용한 택시 및 카셰어링 시범사업을 광주지역에 국내 최초로 실시한다. 특히 수소전기차 카셰어링 시범사업은 광주지역을 대상으로 올해 말부터 시작해 2020년까지 300대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기사 링크 : http://honam.co.kr/read.php3?aid=1473692400502795005 출처 : 무등일보 박지훈기자 2016-9-13
광산구 운남동 주민들 한 달 두번 밥상 차림야구장포차서 시작…이젠 주민센터에 자리 기사 링크 :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1&uid=475210 출 처 : 경남매일 황해윤 기자 이메일 : nabi@gjdream.com 2016-09-02
정부는 지난 2009년부터 국민, 산업계, 지자체, 정부 등이 공동으로 자원순환 의미를 공유할 수 있도록 자원순환의 날을 매년 9월에 지정해 자원순환사회를 만들기 위한 토대 마련과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사회의 비전을 제시하고 나아가, 자원순환 성과관리제와 폐기물처분부담금제도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자원순환기본법’이 일부 이익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박원순 서울시장은 16일 조선비즈와의 인터뷰에서 “공유경제는 새로운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때문에 한국 경제 재도약의 혁신에너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 링크 : http://economyplus.chosun.com/special/special_view_past.php?boardName=C03&t_num=10337&img_ho= 출 처 : 조선매거진 정원석·박정엽 기자 2016-08-31 …
광주 광산구 하남동주민센터(동장 전경희)가 20일 공유 공간을 개방했다고 밝혔다. 동 주민센터 1층에는 공구 공유방을, 2층에는 공유문화센터를 마련한 것이다. 공구와 공유문화센터 사용문의는 하남동주민센터(960-7815)로 하면 된다. 기사링크 :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74489 출처 : 광주드림 강경남기자 kkn@gjdream.com 2016-07-21…
물건을 소유하는 개념이 아닌 서로 빌려쓰고 나눠쓰는 경제활동이라는 의미로 등장한 공유경제. 이젠 백화점에서도 '패션 렌탈'이라는 이름으로 공유경제 바람이 분다. 공유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사업 모델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으면서 국내에서는 롯데백화점이 최초로 패션 렌탈샵을 선보인 것이다. 기사링크 : http://www.sedaily.com/NewsView/1KYVJUO1UX 출처 : 서울경제TV …
미국 하버드대학교의 로렌스 레식 교수가 2008년 "공유경제"란 말을 처음 사용했고,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서 사용하자는 개념이다. 대표적인 공유경제기업으로는 우버와 에어비앤비가 있다. 기사링크 :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90718 출처 : 이코노믹 리뷰 최진홍기자 rgdsz@econovill.com 2016-6-3
최근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공유경제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형마트나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소포장 상품은 물론, 혼자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인테리어 자재 등의 성장세를 보이며 1인가구를 위한 대안으로 공유경제가 떠오르고 있다. 기사 링크 : http://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19172 출 처 : 데일리팝 이성진기자 dailypop@dailypop.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