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얼마전 소개해드린 서울시 몇몇 자치구들의 공유 관련 소식들 유용하게 읽으셨나요? 그 사이 더 많은 소식들이 모여 여러분께 ‘우리동네 공유소식 2탄’을 소개합니다. 이번에는 음식공유, 거주민의 지역경험 공유, 이동식 공유문고 등 다채로운 소식들이 준비되어 있어 흥미로워요~ 여러분이 살고 계신 자치구 외의 소식들 중 영감을 받아 자신의 커뮤니티에서 실현해볼 수 있는 좋은 아이디어들을 발굴해보는건 어떨까요?
출처: 2015.07.30. 오산시 대원동, 푸드쉐어링(Food Sharing)으로 이웃 사랑 실천 (투데이경제) (이미지 출처: 오산시, 투데이경제)
용산구에서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독특한 공유사업이 진행되고 있어요. 먼저 용산 지역 부모님들이 주축이 되어 영유아 옷과 교재교구를 공유, 지속적인 나눔을 추진하는 ‘또또시장’(또쓰고 또쓰는 시장)이 있는데요, 지난 24일 열린 제1회 또또시장은 육아용품 공유로 양육비용을 절감한 것을 넘어 나눔 문화가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을 것입니다.또 이태원을 중심으로 지역경험을 공유하는 ‘용산구에서 즐기는 지구촌 문화여행’은 지역내 거주하는 외국인과 한국인이 여행을 통해 지역 경험을 공유하는 사업으로, 거주민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문화관광 콘텐츠가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이와 함께 구는 공간공유 차원에서 용산구 청사 내에 구민체력단련실 및 북카페 등을 주민들에게 개방하여 구민들이 이웃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처: 2015.07.27. [인터뷰]성장현 용산구청장 “또또시장 공유경제 모범으로 키워” (아시아 경제) (이미지 출처: 서울시 용산구)
송파구는 2015년 공동주택 공동체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된 도서공유 · 생활용품공유 · 재능공유 등 공유 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해요.지난 4월 공동체 사업 선정 이후 송파파크데일1단지 아파트는 주민들이 기증한 책으로 놀이터에 작은 공유책장을 만들어 이웃 간 책을 공유하며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으며 가락래미안파크팰리스는 지난 5월부터 생활용품 공유사업을 추진해 한 번씩 꼭 필요하지만 가정에서 구입하기 부담스러운 망치, 드릴, 첼라, 펜치, 고무대야, 곰솥, 교자상 등 공구 및 생활용품을 단지 내 북카페에 비치해 주민 모두가 공동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아파트 및 공동주택 내 입주민들을 위한 공구도서관이 설치 및 운영될 예정이라고 해요.이 외에도 주민들의 재능공유로 천연비누, 천연화장품, 퀼트가방 등 생활용품을 함께 만들어 쓰고 벼룩시장 · 아나바다장터 등을 열어 주민들의 생필품을 공유하며 재활용 문화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출처: 2015.07.17. 송파구, 도서·생활용품 등 공유로 공유 공동체 활성화 추진 (아시아경제) (이미지 출처: 서울시 송파구청, 아시아경제)
성동구에서는 낮 동안 비어있는 거주자우선주차장 공간에 방문 차량이 이용할 수 있도록 ‘방문주차제도’를 운영해 올해 상반기에만 3044대의 차량이 주차장을 공유했습니다.방문주차는 성동구도시관리공단 홈페이지(https://parking.sdmc.go.kr)나 자체 개발한 모바일 웹(m.parking.sdmc.go.kr)에서 손쉽게 신청·결제가 가능하다고 하니 성동구 주민 분들은 이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한편 서울시 지정 공유기업인 ‘레디앤스타트’와 함께 덕수고, 무학여고, 성수고의 동아리 학생들이 ‘공유 워크숍’과 ‘공유 Day’를 진행하며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공유 활동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참여형 프로그램이 8월3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공유와 공유경제를 주제로 하는 시민교육이 8월25일까지 7차례에 걸쳐 운영되는 등 성동구에서 공유 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답니다.
출처: 2015.07.21. 서울시 성동구 ‘공유 도시’로 거듭난다 (아시아투데이) (이미지 출처: 서울시 성동구청)
성북구 돈암2동과 장위1동 새마을문고는 각각 지역내 어린이집 2개소와 이동식 공유 문고 설치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어요. 새마을문고 방문이 어려운 영유아가 편리하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마을복지센터 직원들은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어린이를 위한 친환경책상과 의자 및 서가를 설치하고 총 640여 권의 권장도서로 이동문고를 꾸렸습니다.이동문고 물품은 2개월 또는 3개월의 대여기간이 종료된 후 타 어린이집과 교차로 대여하여 도서공유·나눔문화를 확산하고 어린이들이 다양한 도서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같은 도서공유/나눔 활동으로 ‘책 읽는 성북’ 문화가 조성되고 동네 작은도서관이 활성화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출처: 2015.07.28. 책, 나누고 공유하면 세 살 독서 여든 간다 (아시아 경제) (이미지 출처: 서울시 성북구, 아시아경제)
지금까지 전해드린 공유 사업들은 각 지역의 특수한 상황과 역량에 맞추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다른 여러 지역에도 좋은 영감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여러분이 살고 있는 곳에서는 어떤 공유 아이디어가 가능할까요?
관련글>> 우리동네 공유소식 1탄 (2015.07.15.)
출처: http://sharehub.kr/ (CC BY)
‘공간 공유’ 사각지대 “민간에서 살려내다” [공유광주]재능기부센터·북구문화의집“민-관, 공유 플랫폼서 역할 분담 시너지 클 것” 김우리 uri@gjdream.com 기사 게재일 : 2018-01-22 06:05:01 ▲ 광주재능기부센터내 프로그램실. ‘공간 공유’ 시대가 열렸지만, 공유에 대한 시민 체감도는 제자리 걸음이란 게 현실적인 평가다. 관에서는…
[공유 광주]“뭐든 좋다 일단 오시라” 청년공간들 문화아지트 에포케·동네줌인·셰어오피스 등 강경남 kkn@gjdream.com 기사 게재일 : 2018-01-22 06:05:01 ▲ 지난 2014년 `에포케’ 첫 공연 기념 사진.<‘에포케’ 김한열 대표 제공>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 중 하나가 누구의 눈치도 볼 필요 없이 하고 싶은 걸 할…
콘텐츠진흥원, 한전KDN, 농어촌공사와 협약혁신도시 기업, 전남 5개 시·군과 콘텐츠 공유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광주시가 '가치있는 강연의 기부와 공유'를 주제로 운영 중인 '빛고을 열린강연방 아리바다'가 전라도 대표 지식공유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광주시 지역공동체추진단은 24일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인재 캠퍼스에서…
최태원 SK 회장이 주유소, SKT에 이어 SK이노베이션까지 기업의 주요 이슈에 대한 PR을 대학생들에게 맡기며, 그동안 주장해온 공유경제의 확대에 가속페달을 밟고 나섰다. 소비자가 기업PR캠페인 대행사를 직접 평가하고 선정하는 것은 파격적인 행보일 수 있지만, 기업 PR 캠페인 제작 프로세스는 SK이노베이션에서 당연한 일이 됐다. SK이노베이션은 9일, SK서린빌딩에서…
[한국금융신문 유명환 기자] 국내 대기업들이 차량 공유사업에 잇따라 진출하고 있다. 특히 이들 기업은 국내 시장 뿐 만 아니라 세계 3대 시장 중 하나인 동남아시아 시장에 대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모양새다. 13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공유차’(카셰어링) 시장 부문 1위인 쏘카는 SK(주)를 대주주로 두고 있으며 그린카 역시 롯데그룹 계열사인…
공원, 학교 안에도 전기차 충전기나 태양광 발전기 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광주·전북·전남·제주 등 4개 광역 지자체와 만나 도시공원·학교 등의 부지를 활용해 태양광 발전기,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조례를 개선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학교나 공원 부지 안에…
광주복지재단이 다양한 복지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홈페이지 '복지곳간'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 종사자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도 유익한 복지 정보가 많이 게시돼 있는데, 이제는 틀을 갖춘 만큼 활성화가 시급합니다. 기사링크 : http://ikbc.co.kr/jw_2ds/index.html?code=main_news_05&menu_id=56_65_76&uid=284782&mode=view 출처 : kbc 광주방송
168㎡ 면적 마을 공동체와 공유 문화 거점 역할 기대.......... ‘뚝딱똑딱 예술창고’를 운영하는 행복어울림은 앞으로 이곳에서 북카페, 마을합창단, 청소년 놀이 프로그램, 마을 영화관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자원봉사캠프는 어르신께 드릴 음식나눔 운동을 주민과 함께 펼친다는 방침이다. 기사링크 : http://honam.co.kr/read.php3?aid=1480431600509400064 출처 : 무등일보 …
- 중고제품 사고파는 차원 넘어 - 카셰어링·숙박공유 등 범위 확대 - 자원절약 통해 환경문제 해소 - 공동체 협동심 높여 사회발전 기사링크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61101.22021193752 출처 : 국제신문 inews@kookje.co.kr
광주시가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다양한 공유 자원을 관리하고 필요한 시민들에게 연결해주는 ‘공유센터’를 만들었다. 광주시는 3일 “최근 광주 남구 진월동 진월국제테니스장에 ‘광주공유센터’를 열었다”고 밝혔다. 공유센터는 광주 곳곳에 흩어져 있는 공유 가능 시설과 재능 등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소개해준다. 기사링크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11032203025&code=620105…
광주공유센터는 광역 지자체에서 설립ㆍ운영하는 최초의 공유센터로 진월 국제테니스장 안에 303㎡ 규모로 문을 열었다. 시는 공유센터가 앞으로 시민들의 자발적인 공유활동과 공유단체ㆍ활동가들이 네크워킹하는 공유 거점공간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사 링크 :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20495 박재일 기자 jip@namdonews.com …
광주시가 민선 6기 시민참여와 나눔의 공동체 형성을 위해 추진 중인 공유(共有)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30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물품, 재능, 경험 등 공유 관련 정보를 나누거나 시민 열린 공간으로 활용할 공유센터를 최근 개관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사 링크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0/30/0200000000AKR20161030049600054.HTML?input=1179m 출처 : 연합뉴스 …